Dev18 [스프링프레임워크] lazy-init 태그 Lazy-init태그 스프링 컨테이너의 기본 빈 정책은 컨테이너 빌드 시 필요한 모든 빈 객체를 생성함. 등록 돼 있는 각 객체(빈)들이 컨테이너가 만들어질 때 싹 다 만들어놓고 보관하고 있음. 컨테이너가 만들어질 때 모든 객체를 다 만들어서 넣어놓게 돼 있음. 언제나 불려질 때 꺼내 줄 수 있도록. 근데 이러면 가끔 쓰는 것까지 다 넣어놓으면 넘 무거워 지자나, 그럴 때 속성값을 줘서 관리해줄 수 있음. 그럴 때, 클래스 뒤에다 lazy-init에 True값을 주면 해당 빈 객체는 컨테이너 빌드 시 생성 안하고 있다가 처음으로 getBean 요청이 들어올 때 생성해줌. 또한 getBean을 계속 해도 만들어져 있던 객체를 고대로 주기만 할뿐 새로 만드는 거 아님. 맨 처음 만들어진 객체를 계속 해서 재.. 2019. 10. 29. 서블릿 (Servlet) 서블릿이란? 게시판과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자바측 기술 중 하나이다. Java.sql 패키지를 JDBC(자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)라고 부르는 것처럼, javax.servelt과 javas.servlet.http 패키지를 서블릿이라고 부른다. Servlet 인터페이스 Javax.servlet.Servlet 인터페이스는 서블릿 아키텍처의 핵심이다. 모든서블릿은 Servl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. 이 인터페이스에는 서블릿의 라이프 사이클 메소드가 선언돼 있다. Init(): 서블릿의 초기화 Service():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서비스 Destroy(): 서비스 중지, 자원반납. Init() 메소드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가 생성된 후, 단 한번 init() 메소드를 호출한다. 서블릿은.. 2019. 10. 29. Session 과 Cookie 세션 Session 정리하면, 클라이언트와 정보 유지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쿠키와 세션이다. 세션이란? l 세션은 쿠키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,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합니다. l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ID를 부여하여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합니다. l 물론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합니다. l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,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. l 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됩니다. l 클라이언.. 2019. 10. 29. [스프링프레임워크] 프로젝트의 가장 기본설정 부분인 web.xml에 대하여 알아보자. * 참고한 사이트주소 https://seongilman.tistory.com/16[SEONG] \ web.xml web.xml은 Deployment Descriptor 배포서술자 라고도 하며 Tomcat의 DD는 web.xml로 환경설정 부분을 담당한다. Deployment Descriptor? 배포 서술자(DD, Deployment Descriptor)는 java EE 스펙으로 웹 앱의 기본적인 설정을 위해 작성하는 파일로, 보통은 WEB-INF/web.xml 파일을 말한다. 배포 서술자는 web.xml 이외에도 EJB를 위한 ejb-jar.xml, 웹서비스를 위한 webservices.xml등이 있으며, JSP와 서블릿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web.xml파일만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. web.xml(D.. 2019. 10. 24. 이전 1 2 3 다음